728x90 반응형 전체 글71 로서 로써 구분하기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쓸 때마다 헷갈리는 맞춤법인 '로서'와 '로써' 두 격조사의 차이와 쓰임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서 1.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격 조사. 2.(예스러운 표현으로)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 로써 1.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는 격 조사. 2.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격 조사. 3.시간을 셈할 때 셈에 넣는 한계를 나타내거나 어떤 일의 기준이 되는 시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위처럼 둘은 다른 뜻을 가지는데요, 어떤 이의 지위, 신분, 자격 등을 나타낼 때는 '로서'를 물건의 재료나 원료, 어떤 일의 수단, 도구를 나타낼 때는 '로써'를 사용합니다 아래의 여러 예문을 통해 둘의 차이를 더 알아보며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 2022. 1. 12. [맞춤법] 바람 바램 '그게 내 바람/바램이야' 바람과 바램 일상에서 자주 쓰이지만 헷갈리는 맞춤법 중의 하나이죠~! 의미에 따라 어떤 맞춤법이 알맞은지 알아볼게요 :D 바람과 바램은 각각 '바라다, 바래다' 두 동사에서 온 말이므로 '바라다, 바래다'의 뜻을 먼저 알아볼게요 바라다 1.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예) 요행을 바라다. 2.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예) 돈을 바라고 너를 도운 게 아니다. 3.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예) 우리는 앞만 바라보며 죽을힘을 다해서 인왕산을 바라고 뛰었다. 바래다 1.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예) 색이 바래다. 2.볕에 쬐거나 약물을 써서 빛깔을 희게 하다. 예) 속옷을 볕에 바래다. 위처럼 바람과 .. 2022. 1. 10. [헷갈리는 맞춤법] 쫓다 쫒다 좇다 일상에서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인 쫓다, 쫒다, 좇다 뜻에 따라 어떤 맞춤법이 올바른 건지 알아봅시다 쫓다 1.동사 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하여 뒤를 급히 따르다. 2.동사 어떤 자리에서 떠나도록 몰다. 3.동사 밀려드는 졸음이나 잡념 따위를 물리치다. 유의어: 격퇴하다, 밀어내다, 쫓아내다 반의어: 이끌다, 쫓기다 예) 급히 뒤를 쫓았다 예) 허수아비를 세워 새를 쫓아냈다 예) 쓸데없는 사념을 쫓다 쫒다 상투나 낭자 따위를 틀어 죄어 매다. 예) 상투를 쫒다 이처럼 '쫓다'와 '쫒다'는 다른 의미인데요, '상투나 낭자 따위를 틀어 죄어 매다'라는 뜻의 '쫒다'는 일상에서는 쓰일 일이 거의 없을테니 둘을 구분하는 건 이제 어렵지 않을 것 같습니다 '좇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좇다 1.목표, 이상, .. 2022. 1. 6. 되 돼 구분 방법 헷갈리는 맞춤법 '되'와 '돼'의 구분 방법을 알아보자 :) ‘되’는 ‘되다’의 어간인데, 어간 ‘되’가 홀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문장의 끝에 올 수 없고, '~되고, ~되면, ~되니' 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돼'는 '되어'의 준말 문장의 끝에 사용할 수 있다 그래도 돼? = O 그래도 되? = X 되, 돼 둘을 구분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되어'를 대입해보기 '되어'를 대입했을때 말이 되면 '돼' '되어'를 대입했을때 말이 안되면 '되' 되면 좋겠다 / 돼면 좋겠다 되, 돼 대신 '되어'를 넣으면 -> 되어면 좋겠다 '되어'를 넣으니 부자연스런 문장이 되므로 '되면 좋겠다'가 정답 2. '하'와 '해'를 대입해보기 '하'를 대입해서 말이 되면 '되' '해'를 대입해서 말이 되면 '돼' .. 2022. 1. 4. '금세'와 '금새'의 바른 표현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지만 맞춤법이 헷갈리는 '금세'와 '금새' 어떤 맞춤법이 올바른 건지 알아보자 :) '금세'의 뜻을 알면 구분하기 쉽다 금세 (부사) 지금 바로. ‘금시에’가 줄어든 말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 소문이 금세 퍼졌다. ‘지금 바로’의 뜻으로 쓰이는 부사 ‘금세’는 ‘금시에’가 줄어든 말이다 본말인 ‘금시에’의 형태를 기억하면 '금세'와 '금새'를 헷갈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금세 = O 금새 = X 2021. 12. 2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