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헷갈리는 맞춤법
'되'와 '돼'의 구분 방법을 알아보자 :)
‘되’는 ‘되다’의 어간인데, 어간 ‘되’가 홀로 쓰이는 경우는 없다
그러므로 문장의 끝에 올 수 없고,
'~되고, ~되면, ~되니' 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돼'는 '되어'의 준말
문장의 끝에 사용할 수 있다
그래도 돼? = O
그래도 되? = X
되, 돼 둘을 구분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1. '되어'를 대입해보기 |
'되어'를 대입했을때 말이 되면 '돼' '되어'를 대입했을때 말이 안되면 '되' 되면 좋겠다 / 돼면 좋겠다 되, 돼 대신 '되어'를 넣으면 -> 되어면 좋겠다 '되어'를 넣으니 부자연스런 문장이 되므로 '되면 좋겠다'가 정답 |
2. '하'와 '해'를 대입해보기 |
'하'를 대입해서 말이 되면 '되' '해'를 대입해서 말이 되면 '돼' 이해가 됬다 / 이해가 됐다 되, 돼 대신 '하'를 넣으면 -> 이해가 핬다 '해'를 넣으면 -> 이해가 했다 두 문장 모두 말이 안되지만 '하', '해'만 보면 '해'가 더 말이 되므로 '이해가 됐다'가 정답 |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이지만
문장 끝에는 '돼'가 와야 한다는 것과
위 2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분하다 보면
틀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바람 바램 (0) | 2022.01.10 |
---|---|
[헷갈리는 맞춤법] 쫓다 쫒다 좇다 (0) | 2022.01.06 |
'금세'와 '금새'의 바른 표현 (0) | 2021.12.29 |
금일, 명일, 익일, 작일 뜻 정리 (0) | 2021.12.28 |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0) | 2021.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