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잠듬? 잠듦?
마음에 듬? 마음에 듦?
자주 헷갈리는 '듬', '듦' 구분방법을 알아볼까요 🧐
'잠들다', '마음에 들다'에서 '들다'는
어간 ‘들-’이 ‘ㄹ’ 받침으로 끝나므로
‘-(으)ㅁ’을 결합하면 ‘듦’이 됩니다
잠들다 = 잠듬 = ❌ 잠들다 = 잠듦 = ⭕ |
마음에 들다 = 마음에 듬 = ❌ 마음에 들다 = 마음에 듦 = ⭕ |
'다' 앞이 'ㄹ' 받침으로 끝나면 'ㄻ' 받침을 사용하면 됩니다 😉
그럼 '오다', '가다'처럼
받침이 없는 경우는 어떨까요~?
'오다', '가다'는 어간 ‘오-’에
어미 ‘-(으)ㅁ’을 결합하면 ‘옴’, '감'이 됩니다
오다 = 옴 = ⭕ 오다 = 옮 = ❌ |
가다 = 감 = ⭕ 가다 = 갊 = ❌ |
다른 예시를 통하여 더욱 알아보며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베풀다 = 베품 = ❌ 베풀다 = 베풂 = ⭕ |
살다 = 삼 = ❌ 살다 = 삶 = ⭕ |
힘들다 = 힘듬 = ❌ 힘들다 = 힘듦 = ⭕ |
길다 = 김 = ❌ 길다 = 긺 = ⭕ |
울다 = 움 = ❌ 울다 = 욺 = ⭕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2일 탄생화 노랑수선화 (0) | 2022.02.08 |
---|---|
1월1일 탄생화 스노드롭(snowdrop) (0) | 2022.02.07 |
가르치다 가르키다 올바른 맞춤법은? (0) | 2022.01.15 |
대 데 구분하는 방법 (0) | 2022.01.14 |
웬 왠 구분방법 (0) | 2022.01.13 |
댓글